2024/12/22 5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1中庸은 何爲而作也오 子思子 憂道學之失其傳而作이시니라 蓋自上古 聖神繼天立極으로 而道統之傳이 有自來矣라  *庸-쓸용, 평소 용.蓋-덮을 개. 대개 개.*子思-공자의 손자 급(伋)의 字, 중용의 저자.*聖神- 고대의 성인.중용>은 무엇 때문에 지었는가? 子思께서 중용의 道學이 상실된 것을 염려하여 그것을 전수하려고 지은 것이다. 대체로 아주 옛날부텨 무불명 무불통한 성인이 천지의 원리를 계승하여 인극(人極:황제)을 세움으로 중용 도통의 전수가 자연히 유래하게 되었느니라. 2其見於經 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者는 舜之所以授禹也니, 堯之一言이 至矣盡矣어시늘 而舜이 復益之以三言者는 則所以明夫堯之 一言이니 必如是而後에야 可庶幾也라  允진실로윤, 厥 그 ..

한학이야기 2024.12.22

莊子 전문

逍遙遊 1. 1.(鯤과 鵬의 이야기)①이 장에서는 전설의 동물인 곤鯤과 붕鵬을 예로 들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곤鯤은 북명北冥에 사는 고기인데 그 크기가 얼마나 큰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고기가 새로 변하기도 하는데 곤鯤이 변하여 새가 되면 이를 붕鵬이라고 한다.이 붕鵬도 그 등의 크기가 몇 천리가 되는지 알 수가 없다고 한다.제해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은 세상의 이상한 이야기를 많이 알고 있다고 하는데, 이 사람이 하는 말이 붕鵬이 남명南冥이란 곳으로 옮길 때는 물이 삼천리를 치고, 바람을 타고 구만리를 올라가서 그리고 여섯 달이나 나른다고 한다.---------------------------------------(원문)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不知其幾千里..

한학이야기 2024.12.22

소학 요약

소학 제1편  入敎 朱熹-중국 남송(南宋) 때의 유학자.주자학을 집대성하여 중국 사상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자는 원회(元晦)·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회옹(晦翁)·운곡노인(雲谷老人)·둔옹(遯翁). 존칭하여 주자(朱子)라고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제2장 ①內則 曰 凡生子 擇於諸母 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愼제4장學記 曰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제5장孟子 曰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제6장舜 曰 敎冑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제7장周禮 三物一曰 六德 知仁聖義忠和 二曰 六行 孝友睦婣任恤 婣혼인,任교우이신三曰 六藝 禮樂射御書數 以鄕八刑 糾萬民 糾꼬일규,규찰, 바로잡는 것一曰 不孝之刑 二曰 不睦之刑 三曰 不婣之刑 婣혼인인.四曰 不弟之刑 五曰 不任之刑 任신..

한학이야기 2024.12.22

맹자 중요문장

맹자 중요문장양혜왕 상 제2장 백성과 함께 즐긴다(與民偕樂)\古之人與民偕樂, 故能樂也(고지인여민해낙, 고능낙야) 옛사람들은 백성과 함께 즐겼기 때문에 능히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양혜왕 상 제3장 흉년을 탓하지 마라王道以得民心爲本, 故以此爲王道之始.(왕도이득민심위본, 고이차위왕도지시) 왕도는 민심을 얻는 것이 근본이다. 고로 이것이 왕도의 시작이다. 善事父母爲孝, 善事兄長爲悌. (선사부모위효, 선사형장위제) 부모를 잘 받들어 효도하고, 형장을 잘 받들어 공경한다. 양혜왕 상 제5장.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仁者無敵(인자무적)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양혜왕 상 제7장 惻隱之心 仁之端也(측은 하게 여기는 것이 어진 마음의 시초이다.) 緣木求魚(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잡으려 한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한학이야기 2024.12.22

대학 속의 중요문장

대학 속의 중요문장 大學經 1.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四端之說-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羞바칠수,부끄러워함.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2.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止者, 所當止之地, 卽至善之所在也. 知之, 則志有定向. 靜, 謂心不妄動. 安, 謂所處而安. 慮, 謂處事精詳. 得, 謂得其所止. 5.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脩, 身脩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天下平.  大學傳 제2장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진실로 새로워지려면 날마다 새로워져야 하고, 또 새로워져야 한다.은나라 탕왕은 새수대야에 글을 새겨놓고 마음을 새롭게 하였다 한다. 제3장 1. 爲人君, 止於仁; 爲人臣, 止於敬; 爲..

한학이야기 2024.12.22